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방법 3가지 - 취향의발견
여러가지 생활 정보 / / 2023. 2. 26. 16:18

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방법 3가지

반응형

경로우대 교통카드
경로우대 교통카드

 

 

서울시가 대중교통인 지하철과 버스 요금을 4월부터 300원씩 인상할 수 있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.

교통비 인상은 어르신들에게 큰 부담이 되는게 사실입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한 달 최소 7만 원 이상은 절약할 수 있습니다.

 

경로우대 교통카드
경로우대 교통카드

 

서울시 경로우대 교통카드 상세 바로가기

 

우대용 교통카드란

우대용 교통카드란 교통카드

news.seoul.go.kr

경기도 경로우대 교통카드 상세 바로가기

 

G-Pass 카드란 ? | 우대용 교통카드 | G-Bus | 교통ㆍ건설ㆍ환경 | 분야별 정보 | 경기도청

G-PASS우대용 교통카드란? ‘G-Pass(경기도 우대용 교통카드)’란 경기도에 거주하는 수도권 전철·지하철 무임승차 대상자의 교통편의를 위해 경기도에서 무료로 발급하는 ‘지하철 무임 교통카

www.gg.go.kr

부산시 경로우대 교통카드 상세 바로가기

 

복지교통카드 : 부산광역시 분야별 통합

복지교통카드 복지교통카드란? 부산교통공사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2009.10월부터 발급되고 있는 교통카드로서 기존 1회용 종이승차권을 발부받지 않고 자유로이 도시철도

www.busan.go.kr

 

 

발급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?

 

주민 등록 상으로 만 65세 이상이면 신청 가능합니다. 2023년 기준 1957년생 부터 가능하고 주민등록상의 생일이 지나야 신청 가능합니다.

 

 

경로우대 교통카드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? (꿀팁)

 

지하철: 전액 무료

버스: 지하철에서 환승시 환승료만 부과, 버스를 첫 번째로 탑승하면 버스비 전액 유료

여기서 꿀팁은 지하철을 타고 버스로 환승시 버스 환승료만 내면 되니까 지하철 먼저 타고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으로 사용해야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. 버스먼저 타면 버스비를 전액 내야 됩니다. 이 방법을 꼭 명심하세요!

 

 

발급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
 

발급 방법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.

 

1회용 카드 

① 신분증 지참하여 지하철 매표 창구나 무인 우대권 발급기를 이용해 발급받습니다.

② 발급 시 500원의 보증금을 내야 하고 1회용 카드 반납 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선불카드 발급 (단순무임카드)

① 최초 발급 시 무료

② 재발급 시 3000원 부과

③  충전 방식: 주민센터, 매표소, 편의점

④ 주소지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경로우대 교통카드입니다. 신분증을 지참하여 주민센터에서 신청 후 3일 정도 후부터 사용 가능합니다.

⑤ 지하철을 이용 시에는 카드에 연결된 계좌에 잔액이 없어도 무임승차가 가능하지만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 시에는 환승료는 부과되기 때문에 계좌에 잔액이 있어야 됩니다.

 

후불카드 발급 (신용/체크카드)

① 신분증을 지참하여 은행에서 신청합니다.

② 연회비가 청구될 수 있어 혜택을 따져보고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.

③ 지역별로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장소가 상이하여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
 

▷서울시 경로우대 교통카드: 신한은행

▷경기도  경로우대 교통카드: NH농협은행

▷부산시 경로우대 교통카드: 신한은행, 롯데카드 (선불식은 부산은행)

 

 

▼함께보면 좋은 글

 

KTX 경로우대 30% 할인 받는 방법

KTX 정가는 서울-부산 왕복 6만 원에 육박합니다.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30%를 할인받을 수 있는데 서울-부산 가격으로 치면 17,900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. 이포스팅을 통해 KTX (새마을, 무궁화

2.gotofind12.com

 

 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